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유상증자란 무엇인가??

주식 Note/공부 일지

by 용아노트 2021. 10. 18. 22:39

본문

728x90

안녕하세요? Yong's Note 입니다.

오늘은 유상증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유상증자란 무엇인가??]

기업이 주식을 새로 발행해 기존 주주나 새로운 주주에 파는 것이며 자금 확보 수단의 하나입니다.

기업은 유상증자를 실시함에 있어 주주배정, 일반공모, 주주우선공모, 제3자 배정방식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즉, 유상증자란 회사가 사업을 영위하는 도중 자금이 필요해 신주를 발행하여 주주로부터 자금을 납입받아 자본을 늘리는 것을 말합니다.

 

금융권이나 사채권자로부터 자금을 융통하는 경우에는 이자를 지급하고 만기에 원금을 상환해야 하지만 주주로부터 자금을 납입받는 경우에는 상환의무가 없으므로 장기간 안정적으로 자금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기업체에서는 자금조달을 위해 유상증자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주가 상승기의 유상증자는 자본금을 확충해 다른 기업을 인수합병(M&A)하거나 공장 증설 등 기업 투자에 활용함으로써 시장 점유율을 늘릴 수 있습니다.

반면에 주식 하락기의 유상증자는 회사 채무 상환에 사용된다든지 기업가의 잘못된 판단으로 M&A 등에 사용됨으로써 오히려 주가 하락을 불러옵니다.

 

유상증자를 하려면 우선 이사회의 결의를 거쳐야 하며 이사회에서는 발행주식수, 배정기준일, 청약일정 등을 정합니다.

 

상장법인의 유상증자 발행가액은 시가에 이론권리락주가(조정주가) 도는 일정 할인율을 적용하여 산정합니다.

 

유상증자는 신주의 모집방법에 따라 주주배정, 일반공모, 제3자 배정으로 나누어집니다.

 

주주배정방식 및 주주우선공모방식으로 유상증자를 하는 경우에는 신주배정 기준일(주주우선공모증자 시에는 주주확정일) 전 제3거래일을 기산일로 하여 발행가를 산정합니다.

 

일반공모방식으로 유상증자를 하는 경우에는 청약일 전 제5거래일을 기산일로 하여 산정합니다.

 

제3자배정증자방식으로 유상증자를 하는 경우에는 유상증자를 위한 이사회 결의일(발행가액을 결정한 이사회 결의가 이미 있는 경우에는 그 이사회 결의일로 할 수 있다) 전일을 기산일로 하여 산정합니다.

[유상증자의 종류]

* 주주 배정

신주인수권을 기존 주주에게 배정하는 방식입니다.

실권주는 주로 이사회 결의로 기존 주주 또는 제3자에게 배정하는데 이 경우 증여세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일반 공모

주주에 대한 신주인수권을 배제하고 불특정 다수인에게 공개 모집하는 방식입니다.

공모 결과 실권주가 발생하면 주관사 증권회사에서 인수합니다.

 

* 제3자 배정

주주의 신주인수권을 배제하고 제3자에게 배정하는 것으로 우리사주조합에 대한 우선배정 등이 해당됩니다.

정관상 주주의 신주인수권 배제에 관한 규정이 있거나 주주총회 특별결의로써 특정의 제3자에게 신주인수권을 부여하는 경우에만 가능합니다.

 

* 주주우선공모

기존 주주와 우리사주조합에게 우선 배정한 후 실권주가 발생하면 일반인을 대상으로 공개 모집합니다.

일반공모 후에도 미달이 발생하면 주관사회사에서 인수합니다.

 

2021.09.05 - [주식 Note/공부 일지] - 무상증자란 무엇인가??

 

무상증자란 무엇인가??

안녕하세요? Yong's Note 입니다. 일주일 동안 상한가 간 종목들을 알아보았는데요. 상한가 종목 중 무상증자 이슈로 올라간 종목이 있었는데요. 그래서 오늘은 무상증자가 무엇인지 알아보았습

yong-note.tistory.com

 

728x90

'주식 Note > 공부 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차잔고 대차거래 대차비율  (0) 2021.10.25
부채비율 이란??  (1) 2021.10.21
공모펀드와 사모펀드  (3) 2021.10.16
펀드란?? (패시브펀드, 액티브펀드)  (1) 2021.10.14
채권이란??  (2) 2021.10.12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