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Yong's Note 입니다.
계속해서 코스피가 하락하고 있네요.
제 계좌도 모두 파란불이... ㅠㅠ
어서 회복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오늘은 인플레이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화폐가치가 하락하여 물가가 전반적,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경제현상.
통화량의 증가로 화폐가치가 하락하고 모든 상품의 물가가 전반적으로 꾸준히 오르는 경제현상.
한마디로 물가가 오르고 돈의 가치가 떨어지는 것이다.
예를 들어 500원 하던 아이스크림이 700원으로 올랐을다고 가정했을 때 돈의 가치를 생각해보자.
아이스크림에 200원이란 돈을 더 써야 하므로 아이스크림에 비해 돈의 가치가 떨어졌다고 생각할 수 있다.
1. 수요 인플레이션
수요는 크게 늘어나는데 그것에 맞추어 공급량이 늘어나지 않기 때문에 일어나는 인플레이션이다.
가계에 돈이 많아지면 소비가 늘어나는데 그만큼 물건 공급이 되지 않을 경우에 발생한다.
이를 과잉 유동성 공급이라고 한다.
2. 비용 인플레이션
제품의 생산비용이 오르면 제품 가격도 함께 올라서 전반적인 물가가 모두 오르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수입하는 석유 값이 오르면 석유와 관련된 제품은 모두 오르게 되는 것을 말한다.
이를 비용 인플레이션이라 한다.
3. 단순한 수요의 이동이나 공공요금의 인상, 저생산성으로 인한 공급의 부족 등도 인플레이션의 원인이다.
인플레이션은 물가의 꾸준한 상승, 통화량의 확대, 화폐가치의 하락 현상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인플레이션은 경제의 악성 암이라 불리기도 한다.
인플레이션의 영향은 크게 네 가지로 볼 수 있다.
1. 월급을 받는 직장인들은 손해를 보게 된다.
물가가 오른 만큼 월급을 올려주면 다행이지만 대부분 그렇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소득 격차가 심해지고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일어나 사회가 불안정해지는 원인도 된다.
2. 빚을 갚을 사람은 유리하고 빚을 받을 사람은 불리하게 된다.
화폐가치의 하락으로 빚을 갚기 쉬워졌기 때문이다.
빚을 진 사람은 아무래도 경제적으로 어려운 사람들이니 부를 재분배하는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3. 상품 값이 비싸지면 더 비싼 값으로 수출해야 되니 수출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국내 물건 값이 비싸지면 수입물품을 쓰는 사람들이 늘어난다. 무역수지를 적자로 만드는 요인이 될 수 있다.
4. 화폐가치가 시간이 갈수록 떨어지게 되면 저축을 할 경우 손해를 볼 수 있기 때문에 저축하는 일이 줄어든다.
그로 인해 은행은 자금이 안 들어오니 자본 부족으로 대출이 줄어들게 되고 경제성장에 지장을 주게 된다.
스태그플레이션과 그린플레이션 (0) | 2021.10.11 |
---|---|
디플레이션이란 무엇인가?? (0) | 2021.10.09 |
영입이익과 당기순이익이란?? (0) | 2021.10.01 |
매출액이란?? (1) | 2021.09.24 |
시가총액이 무엇인가?? (1) | 2021.09.20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