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Yong's Note 입니다.
날이 점점 풀리면서 나들이 다니시는 분들 많으실 거라 생각됩니다.
그동안 사회적 거리두기 하면서 답답했던 분들이 많으신지 길거리에 차도 많고 사람도 많아졌는데요. 미뤄왔던 이사 준비를 하시는 분들도 계실 거라 생각됩니다.
우리가 집을 구할 때 다달이 나가는 월세보다 돈을 모으기 위해 전세를 많이 택하게 됩니다. 전세로 집을 구하면서 집주인에게 전세 보증금을 맡겨두고 전세를 구하게 되는데요. 저의 경우 전세계약을 할 때 집주인에게 큰돈을 맡기게 되다 보니 계약기간이 끝났을 때 전세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할까 전세계약을 할 때마다 걱정하곤 합니다.
아마 저처럼 전세보증금 반환받는 것에 대한 걱정이 많으실 거라 생각됩니다.
이때 전세 보증보험을 가입한다면 안전하게 전세보증금을 지킬 수 있습니다.
오늘은 전세 보증보험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전세보증금을 지불하고 전셋집에 입주하여 계약 종료 후 경매 및 집주인의 사정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전세보증금을 반환받지 못하게 된 경우 주택도시보증공사에서 전세보증금을 세입자에게 선 지급 후 집주인에게 돌려받는 것을 말합니다.
전세보증보험을 취급하는 곳은 다양하게 있으니 여러가지 조건에 맞춰 가입하시면 됩니다.
HUG 보증보험 - 가입조건이 까다로운 대신 보증료가 저렴
SGI 보증보험 - 가입조건이 완만한 대신 보증료가 높음
전세보증보험은 전세계약 종료 시 임대인이 임차인에게 반환해야 하는 전세보증금의 반환을 책임지는 보증상품입니다.
첫 번째, 전세보증금을 제때 못 받아서 이사를 가지 못할 것이 걱정되는 경우 추천합니다.
전세계약 만료 후 집주인의 사정으로 인해 전세보증금을 제때 돌려받지 못하게 된다면 이사계획에 차질이 생기게 됩니다. 뿐만 아니라 한두 푼이 아닌 전세보증금이 집주인에게 묶여있어 금전적으로 스트레스가 이만저만이 아닐 거라 생각됩니다.
두 번째, 전세로 살고 있는 집이 경매에 넘어가 전세보증금을 못 받을까 걱정되는 경우 추천합니다.
전셋집이 경매로 넘어가는 경우 전세보증금 반환에 문제가 생기는데요. 이경우 전세보증 보험에 가입되어있다면 제때 전세보증금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세 번째, 전세보증금 회수를 위한 법적 조치를 스스로 하는 것이 걱정되는 경우 추천합니다.
전세계약 만료 후 전세 보증금을 회수하여야 하는데 집주인과 대화가 원만히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전세 보증보험을 통해 안전하게 전세 보증금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1. 보증 상담 - 보증금지 해당여부, 보증대상 및 조건, 내용 등 안내
2. 보증 신청 - 보증신청인이 영업지사를 방문하여 신청(인터넷 가능) / 보증신청 구비서류의 적정성 확인
3. 신용 조사 - 신용불량정보 등 확인
4. 보증 심사 - 보증신청내용의 적정성, 보증금지 해당여부 등 심사
5. 보증서 발급 - 보증서 발급일 기준으로 신용불량정보 재확인
[제출 서류] - 제출 서류의 경우 보증신청일 기준을 최근 1개월 이내 발급분이어야 합니다.
1. 기본 서류 : 보증신청서, 개인정보제공 동의서,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확약서
2. 공통 서류 : 주민등록등본 및 신분증 사본 (개인) / 사업자등록증 사본 (개인사업자), 확정일자부 전세계약서 사본, 전세보증금 수령 및 지급 확인 서류, 부동상 등기부등본 및 전입세대 열람내역
3. 추가 서류 : 건축물대장, 전세 목적물에 대한 타전 세계 약 체결내역 확인서, 주채무자가의 법인등기부 등본, 사업자등록증 사본, 사회보험료 완납증명서 (추가 서류의 경우 해당하는 서류만 준비하시면 됩니다.)
4. 기타 서류 : 인감증명서(필요시), 채권양도계약서, 위임장 등
오늘은 전세보증보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전세보증보험은 전세로 집을 구할 경우 나의 전세보증금을 안전하게 지킬 수 있는 간단한 방법입니다.
처음 보는 집주인에게 선뜻 전세보증금이란 큰돈을 믿고 맡기기 어려운데요. 이때 전세보증보험을 가입하여 안전하게 전세보증금을 지킬 수 있으니 전세계약을 하시는 분이라면 전세보증금을 지키기 위해서 꼭 가입하는 것이 좋겠죠?? 언제 어떻게 될지 모르는 게 사람일이니까요~ 그럼 모두 안전하게 전세보증금을 지키셨으면 좋겠습니다. ^^
좋은 집 구하시길 바랍니다.
운전경력증명서 인터넷 발급 방법 (0) | 2020.05.06 |
---|---|
예방접종증명서 발급 방법 (0) | 2020.05.03 |
우체국 등기 조회방법 (1) | 2020.04.29 |
개인통관고유부호 Q&A (0) | 2020.04.26 |
운전면허증 재발급 (0) | 2020.04.26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