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2020년 4대보험 계산기

알쓸꿀TIP

by 용아노트 2020. 4. 9. 23:15

본문

728x90

안녕하세요? Yong's Note 입니다.

직장인 여러분들은 매달 월급을 받을 때마다 급여명세서를 받아보실 텐데요.

급여명세서를 보시면 내가 4대 보험이 얼마나 내는지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런데 매월 빠져나가는 4대 보험료가 정확한지 궁금하셨던 적 없으신가요??

<4대 보험이란??>

'국민연금 / 건강보험 / 고용보험 / 산재보험'을 말합니다.

 

* '국민연금'이란??

정부가 직접 운영하는 공적 연금제도입니다. 국민 개개인이 소득 활동을 할 때 납부한 보험료를 기반으로 하여 나이가 들거나 갑작스런 사고나 질병으로 사망 똔느 장애를 입어 소득활동이 중단된 경우 본인이나 유족에게 연금을 지급함으로써 기본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연금제도 입니다.

 

* '건강보험'이란??

질병이나 부상으로 인해 발생한 고액의 진료비로 가계에 과도한 부담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국민들이 평소에 보험료를 내고 보험자인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이를 관리, 운영하다가 필요시 보험급여를 제공함으로써 국민 상호 간 위험을 분담하고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사회보장제도입니다.

 

* '고용보험'이란??

근로자가 실직한 경우에 생활안정을 위하여 일정기간 동안 급여를 지급하는 실업급여사업과 함께 구직자에 대한 직업능력개발, 향상 및 적극적인 취업알선을 통한 재취업의 촉진과 실업예방을 위하여 고용안정사업 및 직업능력개발사업 등의 실시를 목적으로 하는 사회보험의 하나입니다.

 

* '산재보험'이란??

산재보험은 산재근로자와 그 가족의 생활을 보장하기 위하여 국가가 책임을 지는 의무보험으로 원래 사용자의 근로기준법상 재해보상책임을 보장하기 위하여 국가가 사업주로부터 소정의 보험료를 징수하여 그 기금으로 사업주를 대신하여 산재근로자에게 보상을 해주는 제도입니다.

<2020년 4대 보험은 어떻게 계산하나요??>

1. 국민연금

기준 소득월액의 9% (근로자 4.5% + 사업주 4.5%)

 

ex) 월급여 2,000,000원 기준 -> 근로자 90,000원 사업자 90,000원

 

2. 건강보험

건강보험료 -> 보수월액의 6.67% (근로자 3.335% + 사업주 3.335%)

 

ex) 월급여 2,000,000원 기준 -> 근로자 66,700원 사업자 66,700원

 

3. 장기요양보험

장기요양보험료 -> 건강보험료의 10.25% (가입자 부담 50% + 사업주 부담 50%)

 

ex) 월급여 2,000,000원 기준 -> 근로자 6,837원 사업자 6,837원

 

4. 고용보험

근로자 기준 월급여의 0.8%

 

ex) 월급여 2,000,000원 기준 -> 근로자 16,000

월급여 2,000,000원 일 때 납부하는 4대 보험료입니다. 참고하세요

 

계산이 어려우신 분들을 위해 좋은 사이트를 하나 찾아 소개해드립니다.

 

http://insure.fpvhxm.com/

 

4대보험계산기

4대보험계산기, 국민연금계산기, 건강보험계산기, 고용보험계산기, 산재보험계산기, 2019년 근로소득간이세액표

insure.fpvhxm.com

 

2020년 4대 보험 계산기를 이용하시고 내가 정확하게 세금을 내고 있는지 확인하시어 손해 보시는 일이 없도록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

728x90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